역사를 어떻게 기록하는가

유시민, 『 역사의 역사 』, 돌베게

역사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역사적 사실에 역사가의 주관을 덧붙여 기록하는 방식이다. 또 다른 하나는 역사적 사실만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역사가 어떻게 기록될지는 그 역사를 기록하는 역사가의 가치관에 크게 좌우될 것이다. 이렇게 기록된 역사는 후대의 사람들에 의해 또 다시 해석되고 기록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관이 추가된다.

그렇다면 나의 가치관은 어떠한가? 역사는 있는 그대로 기록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역사가의 주관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아 기록되어야 하는가? 개인적인 생각으로 역사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정말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 기록된 역사를 읽는 것은 싱거운 국을 먹는 느낌과 같을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가의 사관을 담은 역사를 우리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우리는 그 안에서 사실을 읽어내고, 그 사실을 통해 스스로 역사를 재평가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역사는 끊임없이 재평가된다. 역사의 재평가는 선대가 기록한 역사에서 사실을 읽고, 그 사실을 자신의 시대에 맞도록 새롭게 가치관을 입혀 기록한 후대의 결과물이다. 가치관에 옳고 그름을 가려내기가 어렵듯이, 역사에 옳고 그름을 가려내기란 쉽지 않다. 역사는 옳다고 기록된 것을 옳다고만 보지 않고, 그르다고 기록된 것을 그르게만 보지 않고 기록해낸 후대의 결과물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또한 이렇게 기록된 새로운 역사가 그 후대에 이르러서는 또 다시 재평가 되면서 살아 숨쉬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역사를 우리는 잘 읽고 있는가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는 다 역사가 된다. 거창한 역사적 사실만이 역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이 하루하루 속에서 일어나는 일도 후대에 구전되고 기록되면서 역사가 된다. 우리는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역사를 올바르게 읽고 있는가? 당장 지금 보도되는 신문 기사, 인터넷에 올라오는 수많은 글들이 개인의 가치관을 담은 역사가 되어 후대에 전해질 것이다. 우리는 현재의 역사속에 직접 살아가고 있는 사람으로서 지금 나와 같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역사, 그 기록들을 올바르게 읽고 있는가? 즉, 그 속에서 사실을 읽어내고 그 사실을 나의 의견, 나의 생각으로 새롭게 만들어내고 있는가? 혹시 역사를 만들어낸 역사가의 가치관대로 그냥 현재를 꾸역꾸역 먹고 있지는 않은가? 그저 글쓴이들이 생각하고 만들어낸 그대로 객관적 사실이 아닌 역사가의 주관을 나의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지는 않은가 하는 말이다.

현재를 올바르게 받아들이기 위해 우리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한 기록자의 기록에 쉽사리 흔들리지 않고, 그 속에서 사실을 신중하게 읽어내는 능력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대중에게 그러한 능력이 결여된 사회에는 억울한 자가 속출하며, 대중을 이용하는 영악한 자들이 들끓을 것이다. 그 속에서 대중이 힘을 발휘하려면 더 신중해지고 더 똑똑해져야 할 것이다. 경거망동해서는 안된다. 과연 우리 사회는 지금, 현재의 역사를 잘 읽어내고 있는가? 과연 글을 쓰는 역사가 보다 더 똑똑하게 역사를 읽고 있는가? 현재를 왜곡하는 역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가? 우리가 끊임없이 스스로 되묻고 반성해야 할 것이다.

Written on January 27, 2019